50세 이상 자영업자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사회 사회 일반
직장 나온 50세 이상 자영업자, 절반은 최저임금도 못 번다
정아임 기자 2025.03.23. 19:42
임금근로자로 일하다가 자영업자가 된 50세 이상 절반가량은
월 소득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자의 자영업 이동과 저임금 노동’ 보고서는
한국복지패널 제1차(2006년)∼18차(2022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1~17차 조사에서 1년 이상 임금근로자였던 이들 중
2022년 자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난 사람들의 59%(269명)가 50세 이상이었다.
특히 이들 중 유통서비스업과 소비자 서비스업 등 ‘생계형 자영업’을 꾸려가는 이들이 54%로, 절반이 넘었다.
재취업이 어려우니 당장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창업을 택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아울러 50세 이상 사업주 가운데 대부분(84%)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 즉 나 홀로 사장님이었다.
지난 통계청 조사 기준 전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비율(77%)보다 더 높은 비율이다.
연령대는 50대가 52%, 60세 이상이 48%를 차지했다.
특히 고령 자영업자 평균 49%가 월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소득을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경험이 있는 분야에서 일한 뒤 동일산업으로 창업했을 때 소득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됐다.
현재 운영하는 자영업과 동일산업에 종사한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창업한 고령자의 순소득은 144만3천원이었고,
저임금 근로율도 83%로 높았다.
반면 동일산업 경력이 1∼3년일 때는 170만5천원이었고,
분석기간 내내 동일산업에서 일한 자영업자의 순소득은 421만5천원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50대의 소득은 380만2천원이었다.
60세 이상은 143만1천원으로 더 낮았고, 저임금 근로비율은 76%였다.
특히 60대 영세자영업 비율은 61%이고, 70세 이상은 90%로 치솟았다.
보고서는 “조기 퇴직자들이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임금근로 일자리 부족 등으로
생계형 창업을 하지 않도록 고령자의 재취업 지원을 더 확대해야 할 것”이라며
“생계를 위해 자영업을 하지만
월 최저임금도 벌지 못하는 자영업자의 경제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관련 기사
빚 못 갚은 자영업자 중 60대 이상이 가장 많았던 이유
60대는 청소·경비? 이젠 기술직이 대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