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쉬었음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오피니언 사설
[사설] 일자리 안 찾고 "그냥 쉬는" 20·30대 73만명, 사상 최대
조선일보 2024.08.19. 00:15
지난 7월에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15~29세)이 44만3천명으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냥 쉰 청년 규모는 2013∼2017년에 20만명대였으나 2018년 30만명을 넘었고
코로나 팬데믹 기간인 2020년에 44만1천명까지 급증했다가 2022년에 30만명대로 내려갔다.
하지만 작년부터 다시 늘어나 7월에는 전년 동월보다 10%나 증가했다.
청년층 인구는 줄어드는데 쉬는 청년 숫자가 늘면서 ‘그냥 쉰다’는 청년 비율이 사상 최대가 됐다.
청년 20명 중 1명꼴(5%)로는 일도 안 하고, 일자리를 찾지도 않는다.
‘쉬었음’ 청년의 연령대를 30대로 확장하면 73만명이 넘는다.
지난 7월에 ‘그냥 쉬었다’는 30대는 28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다.
수출부진으로 위축됐던 제조업 고용이 수출회복에도 다시 늘어나지 못한 데다
내수위축이 길어지면서 일자리를 잃거나 폐업한 자영업자들이 고용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는 것이다.
7월에 실업률은 3%, 청년 실업률은 6% 정도다.
그러나 청년층이 체감하는 실제 실업률은 더 높다.
일자리를 안 찾고 그냥 쉰 청년들은 실업률을 산정하는 모수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쉬었음’ 청년 가운데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76%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일하기를 원한다는 나머지 청년들에게 구직활동을 안 한 이유를 물었더니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43%로 가장 많았다.
20~30대가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을 단념하고 고용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다는 의미다.
노동시장의 주축이 되어야 할 20·30대 청년층이 ‘그냥 쉬는’ 현상은 이만저만 심각한 게 아니다.
정부는 ‘쉬었음’ 청년에 대한 심층실태조사를 거쳐 지난해 11월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단계별 지원책을 발표했다.
대책을 발표한 지 9개월이나 지났는데 ‘쉬었음’ 청년이 줄어들기는커녕 사상 최대로 늘어났다는 것은
정책이 전혀 효과를 못내고 있다는 뜻이다.
정책을 전면 재점검해서 실효성을 높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04.♡.203.145 작성일
청년들이 '그냥 쉬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냥 쉬는 사이에도 지구는 계속 돌고 세월은 계속 흘러간다
인간수명이 늘어나니 결혼독립도 이치를 눈치챔도 늦어진다
대중은 원리, 조건, 책임과 미래를 생각지 않고 수동적이며
타인, 제도, 법칙과 우월한 시스템의 존재를 인정치 않는다
남의 떡이 크게만 보이면서 성찰 없는 분노에 사로 잡히고
자신보다 더 우월한 보편적 이성이란 공통원리를 무시한다
결국은 10년 20년 허송세월로 자신이 이룩한 것 없다 보니
국가, 사회, 조상, 타인 탓하다가 부모의 재산을 넘본다
다른 말로, 부모가 더 일찍 지구를 떠나기를 기다리니
부모들의 잔여 생명과 재산이 위험해지는 세상이 온다
그마저 내세울만한 재산을 가진 부모는 전체의 1/4도 안된다
끝내는 국가의 복지제도만을 기다리는 국가의 노예가 된다
출세와 효자로 가문의 번영에 기여한다는 것은 전설이 된다
그나마 분란이나 묻지마 사건에 연관되지 않으면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