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정책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오피니언 데스크에서
[데스크에서] 혹독한 탈원전 대가 치르는 이탈리아
손진석 기자
이탈리아는 34년 전 원전가동을 전면중단한 나라다.
그런데 세계원자력협회(WNA) 보고서에는
이탈리아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6%가 원전에서 만들어지고 있다고 적혀 있다.
탈원전 국가에서 여전히 원전발전기를 쓴다는 역설은 무슨 뜻일까.
1986년 체르노빌 사고를 계기로 이탈리아는 국민투표를 거쳐 1990년 모든 원자로를 닫았다.
속전속결이었다.
대신 뜨거운 지중해 햇빛을 활용해 태양광 발전을 끌어올리려고 무진 애를 써왔다.
그래 봐야 이탈리아의 전기 에너지원 가운데 태양광 비율은 10%에 그친다.
아직은 효율이 낮기 때문이다.
원전의 빈자리를 메우고 태양광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화석연료를 쓰지 않을 수 없다.
이탈리아는 전력생산의 48%를 천연가스에 의존한다.
문제는 필요한 분량의 90% 이상을 러시아·알제리·카타르 등에서 수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막대한 비용청구서가 날아든다.
천연가스 수입에 재정을 쏟아부어도 전력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전기 자체도 외국에서 끌어와야 한다.
이탈리아가 2022년 전기를 수입하느라 지불한 돈은 16조원대에 달했다.
유럽 최대 전기수입국이다.
이게 탈원전 이후에도 원전발 전기를 쓸 수밖에 없는 이유다.
전선이 연결된 이웃 나라 프랑스와 스위스에서 전기를 대량 수입하고 있는데,
두 나라는 여전히 원전을 많이 가동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수급에 실패한 짐은 국민 몫이다.
글로벌 에너지 정보업체 GPP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이탈리아의 가정용 전기요금은 kWh당 0.45$달러다.
우리나라(0.13$)의 3.45배다.
같은 양을 써도 한국인이 10만원 낼 때 이탈리아인은 34만원 넘게 내야 한다는 얘기다.
더 이상 버틸 재간이 없는 이탈리아 정부는 최근 탈원전정책 폐기를 선언하고, 원전을 다시 짓기로 했다.
이런 전환이 이뤄진 배경에는
체르노빌 사고 이후 태어난 이탈리아 MZ세대에게 이렇다 할 사고 기억이 없다는 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에너지 수급계획이 실패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른다.
재정난을 부를뿐 아니라 가계에 치명타를 가한다.
산업용 전기료가 비싸지면 기업활동에 족쇄가 채워진다.
앞으로 AI시대가 본격화되면 전력수요는 폭발하게 된다.
국가의 흥망성쇠를 전력수급이 좌우하는 세상이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해의 강풍을 활용한 풍력발전을 키우려고 안간힘을 써온 영국도 다시 원전을 늘리기로 했다.
우리 국민들에겐 지난 정부가 멀쩡한 원전을 서둘러 가동 중단시키려는 자해극을 벌였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런 무모한 방향의 역주행을 이어갔다면 우리도 이탈리아의 전철을 밟았을 가능성이 짙었을 것이다.
그래도 이탈리아는 비용투입만 감수하면 프랑스·스위스에서 손쉽게 전기를 수입할 수 있다.
우리는 다르다. 사방이 바다와 북한으로 막혀 있는 나라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04.♡.203.141 작성일
교통사고가 두려워 교통을 포기하는 것은 선박 자동차 기차 항공기를 포기하는 것과 같다
현대문명을 포기하고 근대문명 시대 이전으로 돌아가자는 것과 같다
원전이 두려워 탈원전하는 것은 현대 산업과 가정/문화 생활에 많은 것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
전기료가 두려워 산업과 전등 에어컨 난방 취사 등에 전기를 절약해야 최소한의 생존이 가능하다
문 정권은 국민들을 가난게 만들어 부국강명에 역행한 소국으로 만들고 통치하기 쉽도록 전략을 짰다
그럼에도 국민들이 거대야당으로 만들어 줬다, 생각이 없고 미래를 못 보는 건망증 심한 국민성이 문제다
싼 잔기료의 풍부한 전기로 이 더운 여름철을 에어컨으로 더 편안히 지낸는 걸 상상해보면 답은 간단하다
싼 전기료의 풍부한 전기로 전기자동차를 쉽게 싸게 충전하여 탄소중립으로 가야 하는 시대를 준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