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Clean Sea Clean World

    게시판     자유게시판
게시판

CHOKWANG SHIPPING Co., Ltd.

자유게시판

공포 영화 못 보는 게 유전 탓?

페이지 정보

김유영21-10-12 16:02 View4,015

본문

 

[사진=게티이미지뱅크]공포 영화를 보다가 귀신이 나오면 "으악!" 소리를 지르는 건 자연스러운 일. 
어떤 이는 그 상황을 즐기지만, 
다른 이는 허구라는 걸 알면서도 겁에 질려 혼자 화장실도 못 가는 상태가 된다.

왜 그런 차이가 나타나는 걸까? 
용기의 문제만은 아니다. 
미국 건강 미디어 '웹엠디'에 따르면, 유전자의 영향이 크다.
공포에 대한 성향이 DNA에 새겨져 있다는 것.

누구든 무서운 영화를 보면 몸에서 에피네프린이 나온다. 
아드레날린이라고도 불리는 이 호르몬은 교감 신경계를 활성화해서 투쟁-도주 반응을 이끌어낸다. 
즉 혈압이 올라가고 맥박과 호흡은 빨라진다. 
위험으로부터 최대한 빨리 달아날 수 있도록 근육으로 가는 혈액의 양이 늘어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유독 심하게 반응한다면? 
신시내티대 샤나 파이벨 교수는 그 이유가 옥시토신 수치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옥시토신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 
화면에 괴물이 나타나도 옥시토신 수치가 높은 사람은 겁을 덜 먹는다. 
반면 낮은 사람은 덜덜 떨며 겁에 질린다.

옥시토신에 대한 민감도 역시 공포 반응에 영향을 준다. 
같은 수준의 옥시토신이 분비돼도 뇌의 수용체가 민감하게 반응하면, 
즉 옥시토신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 공포를 덜 느낀다. 
반대로 수용체가 옥시토신에 둔감하게 반응하면 불안이나 공포를 더 느낀다. 
옥시토신 수용체의 민감도는 유전자(OXTR)가 결정한다. 
결국, 겁이 많은지, 적은지는 부모 영향이 크다는 의미.

코르티솔도 공포와 관련이 있다. 
코르티솔은 아드레날린과 마찬가지로 몸을 투쟁-도주 반응으로 이끄는 스트레스 호르몬. 
런데 코르티솔 수치가 한 번 높아지면 쉽게 낮아지지 않는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다른 사람보다 오래 공포와 긴장을 느끼게 된다.

공포에 대한 반응이 유전적 영향 아래 있다는 증거는 떨어져 자란 쌍둥이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은 같은 DNA를 갖기 때문에 혹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하더라도 유사한 공포 성향을 보인다.

기사출처 : 이용재 youngchaeyi@kormedi.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930 / 133 PAGE
자유게시판 LIST
NO. TITLE WRITER
1950 답변글 향후 백신접종은 인기글 웅비4해
1949 검은돈 댓글1 인기글 웅비4해
1948 하선인사 댓글1 인기글 전종현
1947 환절기 면역력 올리는 음식 7 인기글 정희영
1946 성인인데 '성장호르몬 결핍증'? 우울, 비만 부른다 인기글 박경민
1945 승선인사 댓글1 인기글 황지환
1944 승선인사 댓글1 인기글 이상동
1943 얼굴·다리 잘 붓는다면… 추천 식품 4가지 인기글 송승현
열람중 공포 영화 못 보는 게 유전 탓? 인기글 김유영
1941 중국 전력 대란 '강 건너 불' 아냐…"한국도 민감 영향" 인기글 양진성
1940 연평균 강수량 지속 증가 댓글1 인기글 웅비4해
1939 하루 한 개가 적당한데…바나나의 장단점 7 댓글1 인기글 박경민
1938 결혼식장 인원제한 댓글1 인기글 웅비4해
1937 TURKEY 인기글 양진성
1936 답변글 형제의 나라 인기글 웅비4해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