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의 '정직 선거'를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오피니언 칼럼
[강경희 칼럼] 이러고도 선관위의 '정직 선거'를 믿으라고?
강경희 기자 2025.03.12. 00:10
서류조작해 가족채용, 선거 다가오면 대거 휴직
이런 곳 일 처리 믿으라는 건 위생불량 주방에서 안전한 음식 만든다는 격
조직·지배구조·선거망 다 개선해야
최근 발표된 감사원의 선거관리위원회 감사보고서는 충격적이었다.
어느 조직에나 있는 소수의 일탈로 보기 어려웠다.
최고위직인 전직 사무총장과 사무차장이 자녀를 특혜 채용한 것 때문에 수사에 넘겨졌다.
2013~2023년 경력 경쟁채용에서 드러난 규정 위반만 878건이다.
채용공고를 안 내거나, 내부 사람으로만 서류·면접위원을 구성하고
면접점수를 위·변조해 직원자녀를 채용하는 등 온갖 채용비리가 다 동원됐다.
정원 대비 1급 비율(0.71%)이 전체 중앙행정기관(0.03%)의 24배다.
외부 사람을 위촉할 수 있는 1급 직위도 몽땅 내부승진으로 채우고,
법정임기를 무시한 채 임기 쪼개기로 1급 자리를 나눠 가졌다.
평균 승진기간이 다른 중앙행정기관보다 급수별로 3~4년씩 빠르니
악착같이 대물려 아들딸을 선관위로 끌어들이려 한 것이다.
윗물도, 아랫물도 다 썩었다.
8년간 124회 출국해 817일을 해외체류한 직원,
근무지를 무단 이탈해 로스쿨 다닌 직원 등 별별 행태가 다 있다.
선거철만 바쁜데 선거철에 휴직률이 급증했다.
결원을 메우려고 경력 경쟁채용을 실시하는데 그게 채용비리 통로였다.
권력의 입김에서 벗어나 선거를 엄정히 치르라고 헌법에 못 박은 독립 기구인데
아무에게도 간섭받지 않다 보니 조직이 심각하게 부패했다.
크게 세 가지를 고쳐야 한다고 본다.
첫째, 선관위 조직의 투명성을 높이도록 감시체제를 도입하고 3천명에 달하는 방만한 인원을 축소해야 한다.
감사원 직무감찰도 안 받겠다고 헌법재판소로 달려갔는데
헌재가 선관위 편을 들어줘 감사원 직무감찰마저 위헌이라 한다.
합법적 견제장치가 없으니 국민감시단이라도 만들어야 할 판이다.
둘째, 헌재의 이상한 편들기에서 드러났듯,
판사·대법관 등 현직 법관이 선관위원장을 겸직하는 지배구조도 개선이 필요하다.
선거소송은 대법원 단심제다.
그런데 선거소송의 피고인 선관위 책임자(선관위원장)가 현직 판사다.
피고와 재판관이 한집안이다.
2020년 총선 직후 선거무효소송이 120여건 쏟아졌는데
최초 판결은 820일 걸렸고 5건만 재검표했으며 나머지는 다 기각됐다.
부정선거론 확산에는 이 이상한 지배구조에서 비롯된 대법원의 선거소송 처리도 한몫했다.
셋째, 선거관리 제도도 고쳐야 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선거관리 시스템이 잘 확립돼 있고 개표과정에 부정이 개입하기 어렵다며
부정선거론에 선을 긋지만 선뜻 동의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주방상태가 불량하고 미덥잖은데 음식위생 걱정 말라는 격이기 때문이다.
어느 제도든 허점이나 오류는 있게 마련이고 수정보완하면 되는데
선관위가 그럴 장치도, 의지도 없어 논란을 키웠다.
일각에서는 대만식 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까지 주장한다.
대만은 부정선거 논란을 원천봉쇄하고 중국의 선거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사전 투표, 부재자 투표 등을 허용하지 않는다.
유권자가 직접 현장투표해야 한다.
재외 국민들도 귀국해 투표한다.
투표함을 움직이지 않으려고 모든 투표소를 투표 종료 직후 개표소로 바꾸어 그 자리에서 수개표한다.
대만만큼은 아니어도 우리 선거관리도 엄격함을 보강해야 한다.
느슨한 사전투표제는 개선해야 한다.
사이버 보안점검도 강화해야 한다.
2023년 국정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 중앙선관위 합동조사에서
선관위의 사이버 관리는 100점 만점에 31.5점에 불과했다.
선관위가 문제점을 고쳤다지만 충분치 않아 보인다.
정보시스템 전문가인 문송천 박사(카이스트 명예교수)에 따르면,
선관위가 자체 구성한 자문위원단에 망(Net) 보안전문가, OS(운영체제) 보안전문가는 있는데
DB(데이터베이스) 보안전문가는 포함돼 있지 않아
DB 설계 및 관리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사이버 보안은 망보안, OS보안, DB보안의 3층 구조로 설계·운용된다.
망 보안은 건물로 치면 외벽·출입문을 지키는 것이다.
OS 보안은 건물 내로 침투했어도 내부문서인 파일을 함부로 보지 못하게 막는 기술이다.
DB 보안은 침입자가 파일에 접근해 속속들이 봐도 특정 페이지의 특정 라인을 읽어내지 못하게 보안하는 것이다.
부정선거론 주장에는 선거인 명부의 부정확성 등이 제기되는데
문 교수는 DB 설계가 부실하거나, 무늬만 DB이고
실상은 일반파일 처리기술로 작동하면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상존한다고 했다.
선관위 DB 설계의 품질과 DB 보안 수준을 판별할 수 있는 전문가까지 포함시킨 합동점검팀을 구성해서
선거망을 진단하고 개선해야 한다.
과학적으로 접근해 불신을 씻어내야 한다.
선거는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기둥이다.
이번에 드러난 선관위 조직 및 선거 관리 문제는 필요하다면 헌법을 바꿔서라도 싹 고쳐야 한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많이 본 뉴스
[강경희 칼럼] 이러고도 선관위의 ‘정직 선거’를 믿으라고?
[사설] 3년간 30회 연쇄 탄핵, 이것은 내란 아닌가
[태평로] 입틀막 비판까지 입틀막 하나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04.♡.203.142 작성일
조 국 전 법무장관은 자녀 입학비리
중앙/지방 선관위는 자녀 채용비로로
국민은 공정성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그 좌익 고위직 관련자들은 도덕적 우월감 청렴을 내세우며
상호간에 품앗이하듯 비리 카르텔을 형성하고 감사를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