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Clean Sea Clean World

    게시판     자유게시판
게시판

CHOKWANG SHIPPING Co., Ltd.

자유게시판

석유화학 업계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25-07-03 08:44 View61

본문

조선경제 > 산업·재계

"3년 내 석유화학업계 절반 사라질 가능성… 구조조정 시급"

국회서 산업 재편 대책 포럼

이정구 기자 2025.07.03. 00:34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는 심정으로, 

구조조정의 필요성과 정부 차원의 대책을 시급히 공론화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국회미래연구원 김기식 원장)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서 열린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 포럼. 

국회미래연구원과 삼성·SK·LG·현대차 등 주요 기업이 

지난 4월 함께 발족한 ‘미래산업포럼’이 여는 제1회 포럼이었다. 

행사를 주관한 김기식 국회미래연구원장은 첫 포럼의 주제로 ‘석유화학’ 산업을 선택한 이유를 

“5대 국가기간산업 중 하나인 석유화학 산업이 공멸위기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 말대로 이날 포럼에 참석한 LG화학·롯데케미칼 등 기업, 정부 관계자들은 

구조조정이 절실하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 

정부 측 대표로 토론회에 참석한 나성화 산업부 국장(산업공급망정책관)은 

“생존가치가 있고 생존가능성이 있는 기업이 남아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엄찬왕 한국화학산업협회 부회장은 

“주요 석유화학기업은 2022년3분기부터 현재까지 계속 적자”라며 

“사업 재편은 최소 2~3년은 소요되는데 조기에 착수하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그래픽=이철원

그래픽=이철원


◇중국시장 유혹 탈피 못 해… 위기 직면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입법부와 정부에 전달하는 걸 목표로 삼은 미래산업포럼이 

석유화학을 1호 의제로 택한 것은 그만큼 위기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화학산업협회 의뢰로 국내 석유화학 산업을 진단하고 이날 발표를 맡은 보스턴컨설팅그룹 김지훈 대표 파트너는 

“3년 안에 국내 석유화학 업계 절반이 사라질 수 있다”고 했다.


한국 석유화학 업계의 핵심사업 모델은 원유에서 뽑아낸 나프타를 가공해 

화학제품의 범용원료인 에틸렌을 만들어 수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중국이 부상하면서 이런 사업 모델은 재앙이 됐다.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이었던 중국은 

2023년 에틸렌 등 주요 제품자급률 100%를 달성하고 오히려 수출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에틸렌 생산능력은 2023년 5천만t을 넘었고, 2027년에는 7225만t에 달할 전망이다. 

원유·전기료 등 생산비도 중국이 한국보다 20% 이상 낮아 가격경쟁이 무의미하다.


값싼 원유를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석유화학 산업에 뛰어든 중동자본도 대규모 증설에 나서고 있다. 

일본은 한국보다 30여년 일찍 구조조정에 들어가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제품시장을 선점했다. 

한 석유화학 기업관계자는 “중국, 중동, 일본의 3중 샌드위치에 놓인 셈”이라고 했다.


그래픽=이철원

그래픽=이철원


◇기업 자구책 한계… ‘석유화학 특별법’ 기대

석유화학산업은 전후방 고용유발 인원만 약 40만명에 달한다. 

한두 기업이라도 파산하면 협력사, 산단지역 경제뿐 아니라 국가실물경제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개별기업마다 공장가동률을 낮추고 

국내외 유휴설비나 비주력 사업을 매각하는 등 자구책을 찾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선 ‘근본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은 

“이미 1조5천억원 규모 사업을 자체적으로 줄였다”면서 

“석유화학기업 간 통합만으론 효과가 제한적이라 정유사까지 포함한 통합으로 원가절감을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김민우 롯데케미칼 전략기획본부장도 개별기업 단위를 넘어선 산업전반의 구조조정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신속한 사업재편을 위해 조세특례 연장, 전기료·가스비 감면, 사업재편 승인절차 간소화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업계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으로, 민주당이 추진 중인 ‘석화특별법’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사업재편을 위한 인수·합병 때 세제지원, 기업 간 생산량감축, 설비가동률 조정을 위한 협의 때 

‘담합’으로 규제하지 않도록 공정거래법 적용 예외가 핵심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940 / 2 PAGE
자유게시판 LIST
NO. TITLE WRITER
3925 답변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2 최고관리자
3924 ‘부자들의 습관’을 댓글1 최고관리자
3923 도서소개 - 이처럼 사소한 것들 댓글1 최고관리자
3922 하버드 대학교 도서관에 최고관리자
3921 챗GPT 강의 최고관리자
열람중 석유화학 업계 최고관리자
3919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최고관리자
3918 답변글 Re: 전작권 전환비용 최고관리자
3917 6·25전쟁이 남긴 최고관리자
3916 도서 소개 - 기자의 글 쓰기 댓글1 최고관리자
3915 항공기 엔진 최고관리자
3914 이란 핵시설 3곳 최고관리자
3913 답변글 벙커버스터 최고관리자
3912 가덕도신공항 최고관리자
3911 답변글 가덕도신공항에 관한 댓글 최고관리자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