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었나?
페이지 정보
웅비4해21-01-10 07:23
View12,231
관련링크
본문
[백영옥의 말과 글] [183] 사랑한다는 말 대신 조선일보 백영옥 소설가 2021.01.09 03:00 코로나 때문에 요양병원에 계신 부모님의 임종을 지키지 못하는 안타까운 일이 생긴다는 얘길 들었다. 얼마 전, 아버지를 잃은 지인 역시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 주무시다가 큰 고통 없이 가셨으니 여한은 없다고 했다. 해가 바뀌기 전, 100세를 앞두었던 그의 아버지는 면회를 올 수 없는 5개월 된 증손주의 자동재생 영상을 실제 아이로 착각해 어르고 달래며 종일 봤다. 호스피스에 근무하며 죽음을 늘 곁에서 지켜본 이의 블로그에서 “임종 전에 고통스러운 듯 얼굴을 찡그릴 수 있지만 본인은 이미 의식이 없기 때문에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는 글을 봤다. 하지만 청각은 마지막까지 살아있으니 떠나는 사람에게 전할 말이 있다면 들려주라고 했다. 지인에게 그 얘길 전했더니, 자신은 임종 때 “아버지, 사랑해요” 같은 말은 차마 하지 못했을 거라고 말했다. 그 세대가 그렇듯 그들 부자 역시 그런 살가운 대화를 나눈 적이 없었다. 대신 그는 “정말 수고하셨어요”라고 말하고 싶다고 했다. 세상과 곧잘 불화하는 성정을 가진 아버지가 자식들의 밥을 위해 얼마나 많은 굴욕을 지불했을까 생각하면 ‘수고’라는 말이 먼저 떠오른다는 것이다. ‘수고하셨다’는 아버지에 대한 최고 존경의 표시라고도 했다. 살면서 그가 아버지에게 들었던 말은 “밥 먹었니?”와 “밥은 먹고 다녀라”였다. 좋은 일이 있을 때나 나쁜 일이 있을 때나, 아버지의 입에선 ‘밥’이 나왔다. 안부를 묻는 전화기에 대고, 집을 나서는 뒤통수에 대고 했던 지겨운 그 ‘밥 타령’이 실은 ‘사랑한다는 말 대신’이었다는 걸 이젠 알 것 같다는 말도 했다. 깨달음은 늘 늦다. 죽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말은 그렇게 차고 넘친다. 그러니 써놓고 몇 번이고 새길 일이다. 벽암록에는 “어제는 지나간 오늘이고, 내일은 다가올 오늘”이라는 말이 있다. 삶의 기준이 ‘저기’가 아니라 ‘여기’, ‘언젠가’가 아니라 ‘지금’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한번 사는 생의 마지막에 나는 또 어떤 말을 주고받게 될까. 모든 삶은 편도다. | |
댓글목록
웅비4해님의 댓글
웅비4해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우리나라 사람은, 우리민족은
참 가난했다 먹거리가 항상 부족했다
그래서 인삿말이 "밥 먹었나"다
밥과 먹는 것에 대한 추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은, 우리민족은
잠자리가 불안하거나 추웠을 것이다
그래서 "Good Morning"이 아니고 "잘 잤나?"다
아마도 춥고 배고픈 날들의 연속이였나 보다
아침에 일어나면
마누라 보고도 "잘 잤소?", 고양이 보고도 "잘 잤나?"
우리나라 사람은, 우리민족은
길에서 친지를 만나면 "어디 갔다 오나?"가 인삿말이다
어디에
"배 부르고 (등)뜨신 곳이 있더냐?"란
아님, "안전한 피난처가 있더냐?"란 소식을 묻는 것일까?
춥고 배 고프고 도망다닌 백성들의 입에 익은 인삿말이다
밥 먹었나? 잘 잤나? 어디 갔다오느냐?로 염려를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