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치킨게임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사회 복지·의료
의료계 원로 5인 "현재 시스템이면 증원해도 결국은 의료 붕괴"
[의료개혁, 이제부터가 중요] [1] 의료계 원로 5인의 제언
조백건 기자 조준용 기자 정해민 기자 2024.06.24. 09:22
법원이 최근 “의대증원은 공익에 부합한다”는 결정을 내린 데 이어,
서울대병원 교수들도 21일 무기한 집단휴진 중단을 발표하면서
정부의 ‘1509명 의대증원’은 사실상 확정됐다.
외형상 정부가 승리한 모양새지만
대다수 의사는 “이대로면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 의료가 붕괴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정부는 의대증원이 ‘의료개혁’의 핵심이라는 입장이지만
현장 의사들은
“증원은 부차적인 문제”라며 “더 크고 근본적인 문제를 고치지 않으면 증원은 독(毒)”이라고 하고 있다.
의료 개혁은 지금부터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이에 본지는 의료계 원로 다섯 명에게 우리나라 의료를 살리기 위한 방안을 들었다.
김한중 전 연세대 총장(예방의학과), 이철 전 연세대의료원장(소아청소년과),
송시헌 전 충남대병원장(신경외과), 김종성 강릉아산병원 교수(신경과),
배장호 건양대의료원장(심장내과)이 제언했다.
①수가는 올리고 소송 부담은 줄여야
이들은 소아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와
낙후된 지역의료를 살리려면 파격적인 수가(건강보험공단이 병원에 주는 돈) 인상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한중 전 연세대 총장은
“의료계가 줄곧 요구했던 필수의료 살리기 정책을 정부가 (지난 2월) 내놓았지만
전공의들은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며
“재원 등의 구체성이 없어 실현 의지가 없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철 전 연세대의료원장은
“정부는 그동안 필수의료 수가를 올려줄 것처럼 하다가
막상 (협상) 테이블에 앉으면 ‘보험재정이 없다’고 해왔다”고 했다.
송시헌 전 충남대병원장은
“필수진료과 수가를 다른 과에 비해 파격적으로 높이지 않으면
매년 의사 2천명을 늘려도 필수진료과 의사들은 절대 늘지 않는다”며
“교육·국방 예산이 있듯이 필수의료 지원을 위한 ‘국민건강 예산’을 신설해야 한다”고 했다.
김종성 강릉아산병원 교수는
“필수진료과는 위험부담이 큰데 소송청구액은 급증하고 있다”며
“소송부담을 경감해 줘야 의사들이 온다”고 했다.
②대학병원 살려야
이들은 “세계적 수준의 국내 대학병원을 더는 방치해선 안 된다”고도 했다.
김한중 전 총장은
“미국 뉴스위크지가 매년 선정하는 세계 최고 병원 250곳 중 우리나라 병원이 2024년엔 17개였다.
우리나라는 매년 3~4위를 기록했다”며
“낮은 수가와 정부지원을 받지 못하는 척박한 환경에서, 의료진의 몰입과 헌신이 이뤄낸 놀라운 성과”라고 했다.
송시헌 전 원장은
“(전공의 이탈 장기화로) 적자가 쌓인 대학병원은 당장 문을 닫게 생겼다”며
“코로나 때 수십조원을 지원했듯이
대학병원에도 재정지원을 해주거나 낮은 금리로 대출이라도 받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했다.
③2026학년도 증원은 의료계와 논의
내년도 의대증원 조정은 어렵더라도
2026학년도 의대증원부터는 정부가 의료계와 재논의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김종성 교수는
“수가를 높이고 소송위험을 낮추면 피부·미용 등으로 빠진 필수의료 의사들이 제자리로 돌아온다”며
“이런 구조개혁 후에도 의사가 모자라면 그때 증원을 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것이 선행되지 않은 기계적 2천명 증원은 재앙”이라며
“의사 수 과다로 인한 의료비 증가, 의대교육 파행 등 부작용만 생길 것”이라고 했다.
배장호 건양대의료원장도
“개인적으로 의사가 부족하다고는 느끼지만
몇명 더 늘릴지에 대해서는 다수 전문가가 참여한 새로운 검증이 필요하다”고 했다.
④‘이탈 전공의 처벌 않겠다’ 발표해야
이들은 지난 2월말 의대증원에 반발해 집단이탈한 전공의 1만여명에 대해서
정부가 ‘복귀 여부와 상관없이 처벌하지 않겠다’고 밝힐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부는 복귀 전공의에게만 불이익을 주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미복귀 전공의들은 처벌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전공의 ‘단일 대오’가 유지되고 있고,
동료 눈치 때문에 복귀하고 싶은 전공의도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송시헌 전 원장은
“복귀라는 조건을 붙여 행정명령을 철회해 준다는 것은 전공의들의 감정을 더 상하게 하는 것”이라며
“현시점에선 어떤 선택을 하든 불이익을 안 주겠다고 선언하는 게 낫다”고 했다.
배장호 원장은
“정부가 의대증원을 갑자기 발표했고, 초반에 전공의들에게 윽박지른 측면이 있다”며
“마음이 상한 전공의들을 시간을 갖고 설득해야 한다”고 했다.
⑤필수의료 흔드는 실손보험
필수의료를 위축시키는 실손보험 왜곡도 바로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김한중 전 총장은
“과거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MRI, CT, 초음파까지 보험이 적용되면서
소위 필수의료 중심인 대학병원의 비급여 진료는 로봇수술과 종합건강검진 정도만 남아 있다”며
“날로 커지는 실손보험보상은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개원의 병의원으로 집중됐다”고 했다.
이로 인한 소득격차가 중환자를 보는 대학병원 교수들의 이탈을 가속화했다는 뜻이다.
관련 기사
김한중 前 연세대 총장 “난 의사이자 암환자… 의정 치킨게임, 절망하는 사람 안보이나”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자본주의 자유시장경제에서 돈줄에 시간, 자금, 노력이 투자된다
의사에게 특별한 대우를 해주고 특별한 진료를 받으면 공평하다
우리사회는 의사의 특별수익에 질투하면서 특별진료를 요구한다
보호받기 좋아하고, 평준화/공짜 정신은 일종의 노비근성이다
산부인과 소아과 내과 외과의 필수의료는 생명관련 전공과목이다
전공의의 보조 없이 전문의만으로는 정상진료가 불가하다
아울러 의사는 의료 사고/소송에 큰 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전공의는 일반의임에도 간호사보다 못한 처우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