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Clean Sea Clean World

    게시판     자유게시판
게시판

CHOKWANG SHIPPING Co., Ltd.

자유게시판

의료분란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24-09-24 06:53 View42

본문

사회 복지·의료

"美수준 오른 필수의료... 美 같은 보상, 소송 부담 낮춰줘야"

[의료의 미래를 묻는다] 심장 스텐트 권위자 서울아산 석좌교수 박승정 인터뷰

조백건 기자 정책부 근무 2024.09.24. 05:44


2024년9월23일 서울 아산병원. 

심혈관 시술 권위자 박승정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 /김지호 기자


“ 필수과 의사들이 그 일만 해서 먹고살 수 있도록 Benefit(혜택)을 줘야 한다.”

심장 스텐트(혈관확장) 시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통하는 

박승정(70)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석좌교수는 23일 본지 인터뷰에서 

“베네핏과 인센티브(보상)는 필수과 의사의 생존이 달린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교수는 

“지금까지 한국의료는 미국 등을 지향하며 달려왔고, 짧은 시간 엄청난 발전을 이뤘다”며 

“하지만 미국과 같은 보상의 개념은 한국 의료에 존재하지 않았다. 정말 잘못된 것”이라고 했다.


환자 생명을 다루는 필수과 의사들의 소송부담도 덜어줄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제가 젊었을 땐 환자를 살릴 확률이 50%만 돼도 보호자가 뭐라 하든 시술을 했다”며 

“지금은 응급환자의 보호자 상당수가 소송 제기를 염두에 두고 

응급실에서부터 의사의 말을 녹음하기 때문에 의사도 방어적 진료를 한다”고 했다. 

“저 역시 적극적 치료를 잘 못 한다”고도 했다.


의정사태와 관련해 박 교수는 

“의사의 경쟁력은 자기만의 콘텐츠를 갖추는 것”이라며 

“이런 측면에서 올 초 사직한 후배 선생님(전공의)들이 걱정이 된다”고 했다. 

그는 “제2, 제3의 박승정이 앞으로도 나오겠느냐”는 질문에 

“그리 될 것이라고 본다”면서 

“한국의 후배의사들은 저력이 있다. 열정도 있고, 똑똑하다”고 했다.


박승정 석좌교수의 연구실은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동관3층의 심장내과 중환자실 바로 옆에 있다. 

23일 오전 10시, 5평(16.5㎡) 남짓한 연구실을 찾았을 때 그는 책과 컴퓨터에 ‘파묻혀’ 있었다.


그는 책상 위의 굴곡진 45인치 컴퓨터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었다. 

모니터엔 이 병원 심혈관 스텐트(혈관 확장) 시술장면이 실시간으로 중계되고 있었다. 

모니터 옆엔 200여권의 책들이 아기 키 높이만큼 빼곡히 쌓여 있어 그의 모습은 검은 정수리만 겨우 보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1979년 인턴 당시 조선일보에 기고한 칼럼에서 ‘살고 죽는 건 의사에게 달려 있지 않다’고 썼는데.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다. 죽음 앞에서 의사의 역할은 제한적인 것 같다. 

의사는 사람이 나고 죽는 과정에서 건강하게 살도록 도와주는 도우미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


−의료계 ‘문익점’으로도 불린다던데.


“1990년대 초쯤 스텐트 시술을 120번 정도 했던 캐나다 의사를 찾아가 

‘한국에서도 할 수 있게 (심혈관을 벌리는) 금속 스텐트를 2개만 빌려 달라’고 부탁했다. 

그걸 가방에 넣어 귀국해 1991년 처음으로 시술을 했다.”


−의료계 반발이 심했을 텐데.


“1994년 초까지 40여건 정도 시술을 했다. 

그런데 당시 흉부외과계로부터 ‘검증되지 않은 불법시술’이라며 고소를 당하기도 했다. 

세계적으로도 생소한 시술이었으니까. 결국 그해 6개월 정도 스텐트 시술을 하지 못했다.”


−미국에서도 ‘Crazy(미친) 박’으로 불렸나.


“맞다. 

1997년 미국 심장학회에 참석해 세 가닥 관상동맥 중 좌주간부(left main)가 좁아진 환자도 

금속 스텐트 시술을 할 수 있다고 했다. 

그 전까진 100% 외과수술을 해온 부위였다. 

그랬더니 청중석에 있던 미국 하버드 의대교수들이 벌떡 일어나 ‘거짓말쟁이’ ‘미쳤다’고 하더라(웃음).”


박 교수는 그해 좌주간부 스텐트 시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시행했다. 

하버드 의대는 2003년 박 교수를 초청해 좌주간부 스텐트 시술을 전수받았다. 

이때부터 그의 별명은 ‘크레이지 박’에서 ‘메인(좌주간부의 영어 줄임말) 박’이 됐다고 한다.


−전공의 이탈로 인한 영향이 오래갈 것이라 보나.


“이미 7개월이 지났잖나. 의료는 대장간 장인 시스템과 비슷하다. 

인턴은 바로 위 레지던트 1년 차에게 배우고, 1년 차는 2년 차한테 배운다. 

이런 현장교육 시스템이 무너지는 것 같아 걱정이다.”


−의정 갈등이 얼마나 갈까.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진 않다. 

정부와 의료계의 불신, 감정이 좀 잦아들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안타깝다.”


−무엇이 안타깝나.


“의사의 경쟁력, 파워는 자기만의 콘텐츠에서 나온다. 

그런 측면에서 (사직) 전공의들이 이번 사태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각 병원은 지금의 상황에 어느 정도 적응을 할 것이다. 

병원 진료시스템, 경영콘셉트도 달라질 것이다. 

전공의들이 돌아와 전문성을 쌓기가 점점 힘들어질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나라는 필수의료 수가가 낮은 편인데.


“100% 맞는 말이다. 

저는 병원의 지원을 많이 받아서 수가에 그리 신경을 쓰지도 않았고, 그걸 살펴볼 겨를도 없었다. 

그런데 지금 와서 좀 들여다보니 형편없는 수준이다. 

우리 병원이 한해 300건 이상 하는 경피적 대동맥 판막치환술(인공판막 삽입)도 수가가 낮더라.” 

이 시술의 수가는 52만원 정도로 미국의 1/40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어떻게 해야 하나.


“후배의사 중에 인턴성적 1등인데 피부과를 가더라. 

최소한 1등이 내과나 외과 등 필수과로 갈 수 있을 만큼의 수가 현실화가 필요하다. 

필수진료과 의사들도 먹고살아야 하지 않나. 

생존의 문제인데 이들에 대한 보상개념 자체가 없었다.”


−지방은 상황이 더 안 좋지 않나.


“우리 병원 출신들 중에서도 지방의대에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많다. 

그분들은 훌륭한 임상연구를 할 능력, 열정이 있는데도 

(저수가로 진료를) 열심히 해도 병원에서 좋은 소리를 못 들으니 할 수가 없다. 

저를 거기에 갖다 놔도 똑같을 것이다.”


−소송 부담이 더 늘고 있나.


“그렇다. 문화가 바뀌었다. 

제가 젊었을 때는 응급실에 심혈관 환자가 오면 

10~20분 안에 치료를 안 하면 사망할 것 같다는 판단이 서면 보호자 설득이 안 돼도 스텐트 시술을 했다. 

하지만 지금은 설득을 하려 하면 보호자들이 휴대전화로 제 말을 녹음부터 한다. 

혹시 모를 소송을 대비하는 것이다. 

이러니 저 역시 방어진료를 하게 되는 것 같다.”


−환자에게 불이익이 있나.


“의학적 치료엔 교과서적 치료 외에 의사 개인의 주관적 판단도 반드시 들어간다. 

그런데 이 판단이 소송거리가 되고 있다. 

그러니 의사가 지금 바로 시술을 하면 환자가 살 가능성이 있다고 해도 

적극적으로 나서려 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저 역시 그리 잘 못 한다.”


−한국 의료수준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필수의료에 대한 Benefit이 있어야 한다. 

베네핏이 클수록 필수의료의 생존확률도 높아진다. 

실력 있는 의사에 대해선 더 신나게 일할 수 있게 해주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이제 우리나라 의료에도 혜택과 보상의 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


−한국에 제2, 제3의 박승정이 나올까.


“어렵겠지만 저는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 

세계적인 의사들 중엔 대도시의 큰 병원에 있는 의사도 있지만 시골에 있는 의사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을 하려는 의지다. 

그 다음이 그 의지를 서포트해주는 시스템이다. 

한국의 의사들은 저력이 있다. 열정이 있고, 똑똑하다.”


−지금까지 몇명의 환자에게 스텐트 시술을 했나.


“우리 (심혈관 중재술) 팀에서 30년 이상, 매년 1500~2000건을 했다.”


−기억나는 환자는.


“1990년대에 스텐트 시술을 한창 할 때 

당시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수술을 받기로 돼 있던 보건복지부 장관이 

스텐트 시술을 하고 싶다고 연락이 왔었다. 

거듭 거절을 했는데도, 

아예 우리 병원으로 몰래 옮겨왔길래 새벽에 10분 만에 스텐트 삽입을 했다. 

상대 병원에서 ‘돌팔이가 불법시술을 했다’며 난리가 났다. 

3~4일을 도망 다녔다. 그 장관은 무사히 퇴원했다.”


:박승정

심혈관 스텐트 분야의 세계적인 대가. 

1991년 국내 최초로 심장관상동맥을 넓히는 스텐트 시술을 했다. 

그는 스텐트 시술 후 심혈관이 다시 붙어 막히는 재협착 비율을 절반 밑으로 떨어뜨린 

‘약물 코팅 스텐트’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이 시술은 현재 전 세계적 표준치료 기법이 됐다. 

1978년 연세대 의대를 졸업했고, 

서울아산병원이 건립된 1989년부터 이 병원에서 일하며 심장병원장 등을 지냈다. 

대한심장학회 이사장, 미국심장학회지(JACC) 부편집장 등도 지냈다.


☞스텐트 삽입술

막힌 혈관을 넓혀 피의 흐름을 되돌리는 시술. 

우선 협착된 혈관 안에 가는 카테터(관)를 넣어 혈관 벽을 부풀린다. 

혈관 벽이 벌어지면 카테터에 달린 금속 스텐트(그물망)를 넣어 혈관이 다시 붙는 걸 막는 시술이다


관련 기사

[단독] 상급병원 진료 ‘중증 환자’ 범위 넓힌다

이종철 前 삼성의료원장 “세계 최고 의료 수준, 주 100시간 일한 전공의 덕분”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04.♡.203.139 작성일

의료분란은 의정분란(의료계와 정부정책 간의 나눠진 난리)이 더 정확한 의미다
흐름은 대책, 준비, 조정 없이 무대뽀로 밀어붙힌 의대신입생 2천명 증원에서 시작됐다
환자의 요구는 의사 배출이 많이 되어, 짧은 대기 시간, 긴 의료상담 시간, 의료비 절약이고
전문의와 전공의의 요구는 더 많은 수익(보상)과 의료소송을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는 의료수가가 낮아 환자를 많이 받아야 돈이 되고 의료소송을 피하고 싶다
필수의료 전문의가 되는데 15년 쯤의 공부와 세월의 투자가 필요하다
그 전문의가 수술하는 날엔 아침 7시 출근하고 밤 11시 퇴근한다
전공의들은 교대로 야간당직을 서고 전문의의 회진/수술에 수행한다
긴급/중증 환자는 유명한 병원의 필수의료과목 전문의를 찾는다
그 전문의에게 몰린 환자 수 때문에 예약기간이 길고 진료대기 시간이 길고 진료시간은 짧다
더 많은 긴급/중증 환자의 진료를 위해선 레지던트 인턴, 전공의들의 보조(진단자료)가 필수다
아울러, 긴급/중증 환자의 가족은 의료사고에서 보상도 생각하고, 상속을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
환자 - 의사 - 환자가족의 3각 이해관계가 상호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의사와 병원은 환자가 한번이라도 더 자주 래원해야 돈이 되는 의료시스템,
일반인들은 의사 부족에 고생하면서도 장시간 일하는 의사의 수입에 배 아파한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의사는 돈 안되는 지방과 필수진료과목엔 가지 않는다
15년을 투자한 의사에게 정부와 환자는 의사배출 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한다
의료전문지식은 축적된 임상경험을 위해 수많은 현장실습이 필수인데
그 현장실습 인원이 두배 가까이 늘면 실속 없는 돌팔이 의사도 배출된다
지방에 필수의료 전문의가 없으니 긴급/중증  환자는 위기시대가 됐다

시술 : 몸 속에 약물, 기구를 넣는 것
수술 : 몸 속에서 손상부분을 제거하는 것

Total 3,621 / 3 PAGE
자유게시판 LIST
NO. TITLE WRITER
3591 할 수 있는 일을 할 때 댓글1 최고관리자
3590 부동산 매매하기 전 최고관리자
3589 단백질 식단 최고관리자
열람중 의료분란 댓글1 최고관리자
3587 건축공법 최고관리자
3586 수중 무인 잠수정 댓글1 최고관리자
3585 러시아·우크라 전쟁 댓글1 최고관리자
3584 블루칼라 댓글1 최고관리자
3583 퇴임 대통령 예우 최고관리자
3582 싸가지 최고관리자
3581 응급실 진료공백 최고관리자
3580 키오스크 주문 식당 댓글1 최고관리자
3579 휴대전화 - 뇌암 댓글1 최고관리자
3578 중국 인력시장 댓글1 최고관리자
3577 페니키아 최고관리자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