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부채가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조선경제 > 경제 일반
日 버블붕괴 직전과 닮은 민간부채, 그런데 더 악성이다
김정훈 기자 유소연 기자 2025.06.06. 06:24
한국은행 "민간부채 위험" 경고
한국 가계와 기업 등 민간부채가 경제규모의 2배를 넘어,
일본의 1990년대 거품붕괴 직전에 근접했다는 한국은행의 진단이 나왔다.
한은이 5일 내놓은 ‘일본경제로부터 되새겨 볼 교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계와 비금융 기업이 진 빚을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한 값이 2023년 기준 207%를 기록했다.
일본의 거품붕괴가 본격화한 1992년(208%)과 비슷한 수준이다.
일본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1985년까지만 해도 162%였다.
그러나 ‘부동산 불패’처럼 자산가격이 계속 오르리라는 기대와 일본은행의 금리인하가 겹쳐
민간부문이 급격히 빚을 늘리기 시작했다.
결국 1989년3월 일은이 연2.5%였던 기준금리를 이듬해 8월까지 6%로 올리자,
빚으로 쌓은 부동산이 무너져 내리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경제는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는 긴 침체로 빠져들었다.
2005년 도쿄의 주택가격은 거품의 정점이었던 1990년과 비교해 40%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한국이 가계부채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이런 일본의 길을 걸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픽=양인성
◇민간부채 중 절반이 가계부채
한국의 민간부채는 일본보다 악성일 수 있다.
우선 민간부채 중 가계부채 비율이 절반에 육박한다.
버블붕괴 전 일본의 가계부채는 전체 민간부채의 1/3 정도였다.
기업의 빚은 투자자금 성격도 있는 반면,
가계의 빚은 소비여력을 줄여 경기침체를 부르기 쉽다.
성장률이 떨어지면 임금과 소득이 낮아지고 부채가 늘어나는 악순환에 빠진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로 조사대상 44국 중 다섯째로 높았다.
미국(71%), 일본(65%) 등 G20이라는 주요 20국 평균(61%)을 웃돌았다.
한국 민간부채가 일본에 비해 부동산에 너무 쏠려 있다는 점도 문제다.
부동산에 대한 대출집중도(업종별 대출잔액을 업종별 GDP로 나눈 값)가
2023년 기준 3.7로, 일본(1992년 1.2)을 크게 웃돈다.
작년말 기준 부동산 부문에 투입된 빚은 1932조원으로 전체 민간부채의 절반가량이다.
부동산 빚은 2014년 이후 연간 100조원 이상 증가해 10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부풀어 올랐다.
금융회사의 대출이 생산성 낮은 부동산 부문에 집중될 경우 경제의 중장기 성장동력은 떨어진다.
만약 부동산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경우 담보가치가 하락하고 연체율은 오르며, 금융회사의 건전성이 망가진다.
◇민간부채 중 절반이 부동산 빚
급증한 부채로 홍역을 앓았던 국가가 일본만은 아니다.
스페인 가계부채는 부동산시장 활황을 등에 업고 2000년부터 10년간 3배로 늘어,
2010년에는 GDP 대비 85% 수준이 됐다.
유로화 도입 이후 장기 저금리로 주택투기 심리가 확산해
2000~2007년 주택가격이 매년 약 20%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
한때 유럽 내 신규주택의 30%를 스페인에서 짓는다는 말까지 나왔다.
하지만 2008년 세계금융위기 후 돈줄이 마르자 파티는 끝났다.
결국 유로존 4위 경제대국이었던 스페인은 2012년 유럽연합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스칸디나비아 3국은 1990년대 초에 비슷한 경험을 했다.
1980년대에 끼었던 부동산 거품은 금융기관 가계대출 비율을 크게 늘렸지만,
1990년을 전후해 글로벌 경기침체와 수출 주종목인 석유가격 하락 등으로 외부여건이 나빠지자
부실채권으로 돌변했다.
핀란드는 1990년부터 4년간, 스웨덴은 1991년부터 3년간 마이너스(-) 성장하는 대가를 치러야 했다.
한은은
“한국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64%에 이를 정도로 높아
부동산가격 급락은
가계경제에 매우 큰 충격을 미칠 수 있고, 바로 부채의 대규모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김정식 연세대 명예교수는
“경기가 좋지 않으니 사람들이 생계형 빚을 내고,
부동산 값이 자꾸 오르니 ‘더 늦으면 못 산다’는 생각에 빚으로 집을 사게 된다”며
“가계부채를 잡으려면 성장을 촉진하고 부동산가격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했다.
관련 기사
나랏빚까지 무섭게 증가… 새 정부, 2차 추경 20조 공언
국가부채 비율 55%… 非기축통화국 평균 처음 넘을 듯
나랏빚 1175조… 역대 최대 규모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한국민의 노비문화가 일률적인 아파트 거주문화로 평준화를 이루고 있다
아파트는 개성이 없이 동질성의 위치에서 관리사무소의 지배를 받고
아파트 거주입주민은 그것을 "보호"라고 착각하며 순종한다
그러면서 자유자주민이라고 허세를 부린다
일반 서민층의 재산은 아파트가 전 재산의 3/4쯤에 해당한다
저축이 없더래도 빚이 없으면 부자축에 든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생고에서 갓 해방되어 축재할 기회가 짧으니 도심지에 아파트가 즐비하다
개인자본 없이 "세계 경제대국 10위"란 국뽕 소리에 감격하지 말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