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생활비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조선경제 머니
“현역 땐 잘 나갔는데...” 노후에 가난해진 사람들의 3가지 특징 [왕개미연구소]
이경은 기자 2023.12.13. 15:40
“밖에 나가면 다 돈인데, 그렇다고 안방에서 맨날 넷플릭스 보면서 집밥만 먹을 순 없고...”
고물가·고금리 쓰나미가 몰아치면서 은퇴를 앞둔 사람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가계생활비가 무섭게 오르는 상황에서 노후자금은 얼마나 준비해야 충분할지 걱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60세가 되면 소득이 끊기기 때문에 가계 손익구조는 마이너스(-)로 바뀐다.
고물가 장기화가 더해지면서 고령 세대의 살림살이는 예전보다 더 팍팍해졌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생애주기적자’ 추이를 봐도, 61세에 시작된 적자인생은 죽을 때까지 이어진다.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기 때문이다<아래 그림 참고>.
적자 절벽에서 살아남지 못한 고령자들은 파산법원으로 향한다.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법원에 접수된 개인파산 신청자 10명 중 4명(41%)은 60세 이상이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파산신청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최대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현역 시절엔 잘 나가다가 나이 들어 가난해진 사람들에겐 어떤 문제점이 있었을까.
무엇이 황금빛 노후와 잿빛 노후를 가른 걸까.
전문가들은 노후가 고달파진 사람들에게 공통점이 있다고 말한다.
조선일보 [왕개미연구소]가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의 분석을 토대로
노후파산 예비군의 특징 3가지를 정리해 봤다.
1️⃣은퇴했는데 생활 씀씀이 그대로
은퇴 부부가 도시에서 살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이달 초 본지가 SM C&C 설문 조사 플랫폼인 ‘틸리언 프로’에 의뢰해 설문을 진행했더니,
20~60대 남녀응답자 1584명의 42%가 월 평균 300만원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 많았던 응답은 월 평균 500만원으로, 전체의 30% 정도였다.
‘월 700 이상 필요하다’는 응답자도 전체 응답자의 13%에 달했다.
사실 예상 노후생활비가 300만원이든, 500만원이든, 700만원이든,
소득이 이보다 더 많다면 자산감소는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은퇴 후 소득은 직장 다닐 때에 비해 눈에 띄게 줄어든다.
소득이 줄었는데 소비습관을 바꾸지 못한다면, 통장 잔고는 금방 바닥나고 만다.
김동엽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상무는
“소득이 줄어들면 그에 맞춰 씀씀이도 줄여야 하지만
한번 높아진 소비수준은 낮아지기 힘들고 가족들 저항도 커서 생각처럼 쉽지 않다”면서
“은퇴가 임박했다면
온 가족이 한마음으로 덜 쓰고 불편하게 살면서 짐을 줄이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인대국 일본에서 한때 ‘버리는 즐거움’을 의미하는 단샤리(断捨離)가 유행이었던 것도
실은 고령화와 연관이 있다.
사전 예습하듯, 은퇴 전에 현재 생활비보다 적은 예산으로 생활하는 것을 시도해 보면 좋다.
2️⃣소파와 한몸 등 불량한 생활 습관
‘죽기 전 10년은 앓다가 간다’, ‘평생 의료비의 절반은 70세 이후에 쓴다’...
나이가 들면 돋보기, 보청기, 틀니, 지팡이, 약봉지가 일상이 된다.
아프면 서럽다지만, 더 큰 문제는 질병으로 인해 파생되는 삶의 질 저하다.
타인의 도움이 필요해지는 상황이 닥치면 더 실감한다.
특히 간병비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서 사비로 충당해야 하는데,
최근 인건비 상승으로 월 300만~400만원이 드는 경우가 태반이다.
얼마나 오래 아플지, 간병비는 언제까지 나갈지, 이런 모든 일정이 불확실하다는 것도 문제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된 일본에서도 병원 신세를 지는 노인들이
의료와 요양에 노후자금을 쏟아부으면서 ‘간병파산’ 위험에 직면했다.
노후에는 건강을 잘 지키기만 해도 흑자인생을 보낼 수 있다.
건강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음주, 야식, 흡연, 과식, 소파와 한몸 등과 같은 나쁜 생활습관은 건강을 해치며 노후파산의 원인이 된다.
사랑하는 자녀에게 부모 부양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주지 않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본인 건강관리다.
평소엔 잊기 쉽지만 치아 관리에도 힘써야 한다.
치아가 부실하면 먹는 즐거움이 사라지고 식욕저하로 만성적 영양불량 상태에 빠지기 쉽다.
3️⃣퇴직금으로 인생 역전에 베팅
“일흔 넘으면 힘 빠져서 돈 쓸 일도 별로 없을 텐데요.”
노후준비를 소홀히 하는 사람들의 변명은 이런 식이다.
하지만 노년기에는
노부모 간병, 자녀지원, 배우자 병환, 주택수리 등 오히려 예상치 못했던 목돈 지출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돌발상황에 대비하려면 통장이 필요하다.
‘잔고가 바닥나면 일하면 되잖아’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건강이 나빠져서 예전처럼 돈을 벌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젊었을 때 모아둘 걸’이라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저축하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지금 벌고 있는 소득은 20~30년 후에 소득이 없을 내 자신과 배우자가 쓸 소중한 씨앗이다.
나중에 퇴직금을 받을 테니까 저축은 필요 없다는 생각도 위험하다.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아서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하겠다는 유혹도 생길 수 있지만,
성급히 결정하면 나중에 후회하기 쉽다.
나이 들어서 투자에 실패하면 젊을 때처럼 패자부활전이 어렵다.
‘힘들게 번 퇴직금은 놀리지 마세요~’라고 접근하는 사람은 100% 사기꾼이라고 생각하자.
퇴직금은 일시금이 아니라 연금 형태로 받아야 절세 효과(퇴직소득세 30% 경감)도 있어 유리하다.
노년기에 투자를 하고 싶다면
미국 등 글로벌 우량지수(S&P500, 나스닥 등)에 연동되는 대표 금융상품에 한정하고,
여행·취미 등에 쓰는 돈도 예산 내에서 쓰는 게 좋다.
마지막으로 황혼의 나이에 무조건적인 자녀지원은 독(毒)이 될 수 있다.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했다고 해서 계속 퍼주면 내 노후가 먼저 무너진다.
‘자식에게 한푼도 안 주면 맞아 죽지만, 다 주면 굶어 죽고, 반만 주면 무서워 죽는다’는 말은
우스갯소리이지만, 속에 뼈가 있다.
✅노후파산 피하는 방법은
“손주들 용돈도 주고 아내와 해외여행도 하려면 노후에 월500 정도는 필요할 것 같아요.
그런데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니까 저는 65세에 받을 연금이 현재 가치로 180만원 정도더군요.
이걸로는 부족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중견기업 50대 유부장)
최근 은퇴준비 트렌드에도 고물가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몇년 전만 해도 도시에 사는 노부부 노후생활비로 300만원 정도면 충분하다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500만원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달 초 조선일보·틸리언프로 설문 조사에서도
도시에 사는 노부부의 노후생활비로 월500만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이 10명 중 3명꼴이었다.
노후생활비로 월500만원 받는 황금 황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조선일보 경제부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머니TV가 7분30초짜리 속성 강의를 마련했다.
조선닷컴에선 여기를, 네이버·다음 등 포털에서는
https://cutt.ly/pwAW1te4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입력하면 바로 볼 수 있다.
관련 기사
아내, 자식, 부모... 은퇴하면 누구랑 살 때 더 행복할까 [왕개미연구소]
“퇴직하면 뭘 하지?” 80대 선배들이 알려준 지금 해야 할 3가지 [행복한 노후 탐구]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우리나라 노인들 대부분(70% ?이상)은 우울하다
그 가장 많은 이유가 의료비 포함한 용돈 부족이다
친구들과 만나면 '용돈 있는 자가 쏜다' 생각하면 간단한데
평준화 의식에 갖혀 쑥쓰럽고 민망한 기분을 갖기 때문이다
노인의 용돈부족 원인의 큰 이유는 자녀들 결혼자금 지원이다
재산 절반이 독립자립심 부족한 자녀에게 지원으로 소모된다
노비기질에 젖은 자녀는 부끄러운 줄도 미안한 줄도 모른다
그리고는.. 노인의 용돈 부족을 탓하고 멸시하고 원망한다
그리고는.. 부모와 자녀는 국가에 종속되는 복지를 강조한다
모든 국민 부모 자녀들의 노비기질 탈피가 산업화보다 급하다
우리가 얕보는 일본인의 자녀 독립은 결혼보다 나이 25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