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Clean Sea Clean World

    게시판     자유게시판
게시판

CHOKWANG SHIPPING Co., Ltd.

자유게시판

100세 시대 최고의 장수법은

페이지 정보

웅비4해22-09-27 11:58 View1,054

본문

오피니언 아침편지 [송의달 모닝라이브]

“100세 시대 최고의 장수법은 운동·음식 보다 독서다” 

80세에 <박경리 이야기> 쓴 김형국 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저서만 50여권

송의달 에디터 2022.09.27 07:00


김형국(80) 서울대 명예교수가 이달 초 본문만 602쪽 분량인 책 <박경리 이야기>를 출간했습니다. 

1942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난 그는 

서울대 사회학과와 행정대학원 졸업후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에서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가나문화재단 이사장을 현재 맡고 있는 김 교수는 공저(共著)를 포함해 지금까지 50여권의 책을 냈습니다. 

이중 상당수는 만 65세 정년 퇴임 이후의 작품들입니다. 

老年이 될수록, 그는 더 정력적인 공부와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기자는 김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의 생각과 활동 세계, 지향점을 들어봤습니다.


◇원고지 2300장 분량...110주 연재

- 도시계획 전문가가 <박경리 이야기>를 쓰게 된 동기(動機)가 궁금하다.


“2년여 전부터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의 블로그 ‘석양에 홀로 서서’의 초대를 받고 

소설가 박경리 일대기를 시작해 110週, 즉 2년하고 한달반 연재했다. 

2022년5월19일 최종회를 실었는데 원고지 분량만 2300장에 달했다. 

중간중간에 박경리의 대표작인 대하소설 <토지>의 구절을 적지않게 인용했다.”


생전에 집필중인 소설가 박경리. 

박경리는 1926년 10월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 2008년 5월 세상을 떴다. 

대하소설 <토지>를 비롯해 <불신시대>, <암흑시대>, <표류도>, <시장과 전장>, <김약국의 딸들>, 

<성녀와 마녀> 등을 냈다./조선일보DB


- 소설가 박경리 선생과는 어떤 인연이 있나?


“1980년 봄 그때 3부까지 완간된 <토지>를 세번 읽고 큰 감동을 받았다. 

이후 박경리 선생과 30년 넘게 ‘특별한 인연’을 맺어왔다. 

글로써 박경리 선생의 인격을 말하고, 내가 배운 바를 내 전공의 시각에서 재생산해보고자 했다.”


박경리 선생과 교분을 맺으면서 

김 교수는 토지문화관 건설위원장, <토지>완간기념사업회 회장 등을 지냈습니다.


- 이번 책을 쓰면서 어려웠던 점, 그리고 보람이라면?


“박경리 선생이 作故한 뒤 그에 대한 책을 쓰기로 결심했다. 

그러다 보니 생전에 주고받은 인연 외에 대부분은 문헌을 통해 그의 생애사(生涯史)를 복원해야 했다. 

여기저기 흩어진 기록을 한 체계로 엮는 게 어려웠다. 

박경리의 美德은 그의 不運을 昇華 내지 超克하려는 몸짓의 치열함에 있다. 

붓 한 자루, 호미 한 자루를 갖고 글이 아니고는 도달할 수 없는 彼岸의 보람 고지를 향해 

그녀는 至誠으로 투신했다.”


김 교수의 이어지는 말입니다.

“박경리의 지극한 불운 내지 薄福은 평생 계속 됐다. 

그는 홀로된 어머니 가정에서 자랐고, 6.25동란 때 남편과 死別했고, 와중에 어린 외아들은 事故死로 잃었다. 

외동딸의 남편(시인 김지하)의 오랜 옥살이도 견뎌내야 했다. 

이런 슬픔과 누적되는 薄福을 연민의 틀 속에서 그려내는 게 쉽지 않았다. 

그 과정에서 큰 보람이라면 박경리의 ‘한국미학론’을 도출한 것이고, 

작은 결실이라면 박경리를 읽으면서 내가 궁금하게 여겼던 낱말의 바른 뜻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국토개발 전공...수도 移轉 반대활동도

- 전공 분야에서는 어떤 책을 썼는가?


“내 전공은 국토연구에서 지역계획 또는 국토개발론이었다. 

수도 이전,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발전론, 지역격차 해소론 같은 것을 다루는 분야다. 

1984년 <국토개발의 이론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공간구조론>(1997) <고장의 문화판촉: 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2002)을 냈다. 

도시 문제를 주제로 해 

<사람의 도시>(1985), <하면 안된다: 도시문화를 보는 시선>(1986), <도시 시대의 한국문화>(1989) 같은 

학술형 수필집도 냈다.”


- 사회 참여 활동도 했나?


“노무현 정권이 수도 移轉을 시도할 때, 나는 반대 취지로 헌법소원을 내며 싸웠다. 

최상철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류우익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가 당시 나의 同志였다. 

2004년 최상철 교수와 共編 저서로 <천도 반대운동의 사회학>을 냈다. 

2008년5월에는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 위원장을, 

2009년 2월에 새로 발족한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 1기 민간 위원장을 맡았다. 

2011년엔 <녹색성장 바로 알기>라는 책을 共編해 냈다.”


- 美學과 예술인 인물 평전, 國弓 등 다방면에서 전공 외 서적을 썼다.


“내가 좋아하는 화가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한국 畫壇의 奇人이었던 장욱진 선생을 처음 월간조선에 연재했고 

나중에 단행본으로 묶어 1993년 <그 사람 장욱진>을 냈다. 

1997년에는 축약본으로 <장욱진: 모더니스트 민화장>을 냈다. 

화가 김종학, 조각가 최종태 등에 대한 책도 발간했다. 

현장에서 古미술 등을 견문한 경력을 정리해서 산문집 <우리 미학의 거리를 걷다>를 2015년에 썼다. 

내가 적은 글은, 좋아하고 사랑했던 마음으로 바라본 미술판 견문기들이다.”


김 교수는 “단독 저술, 공저, 편저 등을 모두 합치면 내 이름을 달고 50권 정도 냈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識者들에게 최후 兵器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도서관에 안 가도 요즘은 알고 싶은 단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순식간에 검색해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글이야 말로 사람의 正體性을 드러내는 金剛石 같은 장치이고, 

좋은 글은 일생을 통해 구사할 수 있는 식자의 힘이다. 

연마하면 ‘그 사람에 그 글’이란 칭찬도 두고두고 누릴 수 있다. 글이 논문의 質을 만든다.”


- 대학·대학원 전공과 다른 다방면의 책을 많이 냈는데.


“학부에서 배운 기초과학인 사회학을 바탕으로 대학원에서 응용과학으로 인문지리학과 도시계획학을 공부했다. 

문화예술 관련 책을 낸 것은 서울대 문리대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사랑을 배운 덕분이다. 

나는 人文主義자를 양성하는 문리과대 졸업생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글은 識者들에게 최후 병기”

김 교수의 이어지는 말입니다.

“인문주의자는 ‘말’과 ‘글’에 傍點을 둔다. 

‘말’은 바람이나 물과 같고, ‘글’은 바위 같다. 

나는 알게 모르게 인문주의자의 다른 말인 ‘문필가’를 지향했다. 

詩, 산문, 소설을 적을 수 있는 사람까지는 아닐지라도 

내가 사랑한 것, 배운 것은 그 소재로 산문 정도는 적을 수 있을 정도까지 가야한다고 믿고 노력했다.”


- 구체적인 사례를 든다면?


“내가 환갑 때인 1992년 10년 좀 넘게 열심히 한 國弓이 그러하다. 

활을 쏘면서 그 유래 등을 알고 싶어 활 책을 찾았더니 부실하기 짝이 없었다. 

그래서 공부해 2006년 <활을 쏘다>는 책을 냈다. 

화살이 나무 사이를 휘돌며 S자를 그리며 날아가는 특성 등을 제시했다.”


그는 “활쏘기의 매력은 시위를 당기는 순간 바로 入禪에 든다는 점이다. 

과거에 대한 후회도 없고, 미래에 대한 불안도 그 순간 사라진다. 

정신집중력을 고양할 수 있다. 

활을 즐기고 책을 쓰면서 이순신 장군을 만난 것도 큰 배움이었다. 

활쏘기 技倆으로 치면 이순신은 오늘날 활쏘기 체계에선 8단과 9단 사이의 入神의 경지였다”고 말했습니다.


- 김 교수께서 쓴 책들의 저자 소개에 

“인문학의 체득은 學藝一致여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고 적혀 있는데 무슨 뜻인가?


“학문(과학)과 예술을 함께 익히는 학예일치가 인문주의이고 인문학이라는 의미이다. 

학문은 사람의 이성에, 예술은 사람의 감성에 착안한다. 

학문의 대표 격인 文史哲: (문학·역사·철학)은 사람을 지혜롭게 만들고, 

미술·음악 같은 예술은 사람을 다정다감하게 만든다. 

머리에 든 차가운 지식은 따뜻한 마음에 실어야 제대로 소통될 수 있다고 믿는다.”


- 삶의 원칙이 있다면?


“원칙을 내세울 정도의 선언적 삶을 살지 못한 대신, 선현들의 말씀을 귀담아 들었다. 

이를테면 William Wordsworth의 ‘소박한 삶에 고상한 생각’이란 말을 명심했다. 

책을 읽는 교양인으로서, 역사에서 등소평이 모택동을 평가했던 ‘功7過3’의 기준을 유념한다. 

친일 사업가인 화신산업의 박흥식은 

日帝에 군용기를 헌납하는 한편 대전감옥에 갇혔던 도산 안창호를 위해 보석금을 냈다. 

해방 직후 종로경찰서 헌병들의 요시찰 인물에 박흥식도 포함돼 있음을 기억한다.”


◇“동북아 지정학 역사책 더 읽고 공부할 것”

- 건강 관리는?


“정년 퇴직하기 전은 주말마다 북한산 등반을 했다. 

미국의 Yellowstone, Yosemite 국립공원 등을 여러 차례, 최소 1주일 이상 경내에 머물며 걷기도 했다. 

운동은 국궁을 10년쯤 한 게 전부이다. 

지금도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편인데, 잠자리에 들면 곧 바로 잠드는 熟眠을 하고 있다.”


- 한국미래학회 회장도 지내셨는데 ‘과거에 예상했던 미래’, 즉 대한민국의 현재를 평가한다면?


“한국은 세계화로 가장 덕을 많이 본 나라이다. 

한국 인재의 세계 진출은 괄목할만하다. 

그러나 한국 정치는 거꾸로 가고 있다. 

자식조차 부모가 국회의원임을 밝히지 않는다고 한다. 

反美를 외치면서 자녀를 미국으로 유학 보내는 공인들은 어떤 사람인가? 

원로 미래학자 한 분은 ‘한국 민주주의는 democracy가 아니라 democrazy가 됐다’고 한탄하더라.”


- ‘100세 시대’를 맞는 한국인들에게 삶의 지혜를 공유한다면?


“폐일언하고 讀書를 권면하고 싶다. 

일본 공영방송 NHK가 2018년10월14일 오후 8시부터 9시까지 방영한 ‘건강수명을 늘리자: 

AI(인공지능)에게 물어 보았다’ 프로를 보면, 

長壽의 비결은 인삼·녹용 같은 약재나 운동이 아니었다.


큼지막한 안내 숫자와 화살표(사진 왼쪽), 혼자 밥 해먹을 수 있게 훈련(사진 오른쪽) 

- 일본 도쿄의 건강장수의료센터 외래에는 큼지막한 번호와 화살표로 각종 검사실·진료실이 표시돼 있다. 

길눈이 어두운 노인 환자들도 쉽게 찾아갈 수 있다. 

진료 대기 순서를 알리는 모니터에도 환자 3명만 크게 띄워 놓는다. 

노인·재활병원에서는 뇌졸중 등으로 신체 기능에 장애가 생긴 환자들이 

퇴원 후 집에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장애인 주방 보조 기구를 갖고 요리 훈련을 시킨다.

사진 오른쪽은 노인들이 혼자 밥 해먹기 훈련 장면/조선일보DB


NHK는 자체 개발한 ‘AI 히로시’에게 600개 이상 질문을 갖고, 

10년 이상 추적한 일본 전국 65세 이상 41만명의 생활 데이터를 학습시켰다. 

또 5천만건의 학술논문, 25년동안의 뉴스 250만 건, 

국가통계와 연구기관·민간회사가 수집한 수십만명의 개인 데이터 등을 학습시켜 분석했다. 

AI가 내린 결론은 ‘건강수명에 가장 좋은 최상책은 운동, 식생활이 아니라 독서’라는 것이었다.”


김 교수는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일본 전국에서 인구 對比 도서관 숫자가 가장 많은 야마나시현(山梨県)은 

남자와 여자 수명이 각각 일본에서 1위, 3위였다. 

이 현은 1945년 패전 직후부터 거의 각급 모든 학교에 사서직을 배치해 독서 습관을 갖게 했다. 

충실한 초등교육이 치매 발생을 대폭 낮춘 것이다.”

야마나시현은 후지산 북부에 있으며, 현청 소재지는 고후(甲府)시이다.


- 앞으로 계획은?


“자료만 모아놓고 마무리를 못한 글이 있다. 

내가 좋아하는 그림 이야기를 마저 하고 싶다. 

정년 퇴직 이후 유념하며 공부해온 韓中日 동북아 지정학 역사책을 더 읽고 공부할 생각이다. 

요즘은 아내와 함께 考終命(하늘이 부여한 天命을 다 살고 죽음을 맞이함) 얘기를 많이 하고 있다.”


송의달 에디터

조선일보에서 홍콩특파원, 디지털뉴스부장, 산업1부장, 오피니언 에디터, 선임기자로 일했고 

조선비즈에서 대표이사(CEO)로 근무했습니다. 

저서 :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혁명>(2021), <세상을 바꾼 7인의 자기혁신 노트>(2020), <세계를 움직이는 미국의회>(2000) 등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김대중 칼럼] 윤 대통령, 총선 승리 전까지는 ‘임시 대통령’이다

“100세 시대 최고의 장수법은 운동·음식 보다 독서다” [송의달 모닝라이브]

[기고] 70%에 무조건 주는 기초연금, 바꿔야 한다

댓글목록

웅비4해님의 댓글

웅비4해 아이피 115.♡.168.73 작성일

젊은 시절에는 심신이 각종 충격을 견뎌내나
노년 시절에는 각종충격을 받아내기엔 심신이 굳어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은 내뇌 모르핀이다
내뇌 모르핀은 해독 항암 피로회복 치매방지 자가면역력 향상 등을 하는데
눈물 나는 감동, 공부 기도의 집중, 봉사에서 얻는 행복감 등에서 나온다
독서에 집중하면 심란해지는 걸 흥분하는 걸 피하므로
호르몬 분비에 기복을 줄여 건강을 지키고 노쇄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본다

Total 3,735 / 76 PAGE
자유게시판 LIST
NO. TITLE WRITER
2610 현무-5 미사일 인기글 웅비4해
2609 답변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인기글 웅비4해
2608 답변글 핵무기가 Last-Card 댓글1 인기글 웅비4해
2607 외로움이 부르는 병 댓글1 인기글 웅비4해
2606 시사 - 부동산 인기글 웅비4해
2605 답변글 시사 - 무역수지 인기글 웅비4해
2604 답변글 대출자의 이자부담 인기글 웅비4해
2603 귀국 인사 댓글1 인기글 문영식
2602 승선인사 댓글1 인기글 박민호
2601 (확인되지 않은) 링크는 댓글1 인기글 웅비4해
2600 하선인사 댓글3 인기글 문승우
2599 크래커 입에 물고 30초… 초간단 '살찌는 체질' 테스트 댓글1 인기글 박경민
2598 하선인사 댓글2 인기글 신석민
2597 하선인사 댓글3 인기글 이상아
2596 규칙적 운동도 '이 습관'으로 말짱 도루묵 댓글2 인기글 김유영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