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 참사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제주항공 사고기,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기록중단"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제주항공 사고 첫 정식 보고서 발간사조위, 미국·프랑스와 협력…"명확한 원인규명할 것"
제주항공 사고기 블랙박스 기록중단 위치.(국토교통부 제공)
지난해 발생한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 항공기의 비행기록장치(블랙박스) 기록이
활주로 2㎞를 앞두고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기의 두 엔진에서 가창오리의 깃털과 혈흔이 발견된 만큼
이 시점에서 버드스트라이크(조류충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원인을 조사 중인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27일 이 같은 조사결과를 담은 예비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사고 이후 사조위가 처음으로 공표한 정식 조사보고서다.
사조위는 이를 사고기의 기체 및 엔진 제작국인 미국과 프랑스, 사망자가 발생한 태국에 제출했으며
홈페이지에도 게재했다.
보고서에는 사고기의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기록이
한꺼번에 멈췄을 때의 대략적인 운항위치를 공개했다.
블랙박스 기록은
사고기가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 둔덕에 충돌하기 4분7초 전인
지난달 29일08시58분50초부터 남아 있지 않다.
기록중단 지점은 애초 착륙하려던 01활주로(남쪽에서 북쪽방향)의 시작점에서 약 1.1NM(해리) 떨어진 바다 위였다.
거리는 약 2037m다.
당시 속도는 161노트(시속 약 298㎞), 고도는 498피트(약 151m)였다.
이 시점에서 버드스트라이크(조류충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기 조종사는 블랙박스 기록중단 시점으로부터 6초 뒤에 조류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선언)를 보낸 뒤
고도를 높이면서 복행을 시도했다.
활주로 왼쪽 상공으로 비행하다가 오른쪽으로 선회한 후
애초 착륙예정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19활주로에 랜딩기어와 플랩 등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동체착륙했다.
이어 둔덕과 충돌 후 폭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사고현장 전경의 사진도 담겨있다.
후방동체와 동체하부, 둔덕 흙더미에 묻힌 엔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조위는 "명확한 사고원인조사를 위해
조류충돌, 엔진분해검사, FDR·CVR자료분석, 관제자료, 부품정밀검사와 방위각시설물 등을
전방위적으로 조사해 명확한 원인을 규명할 것"이라며
"조사 중 안전 및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내용을 검토해 긴급 안전권고를 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프랑스 항공사고조사위원회(BEA)와 사고조사를 협력하고 있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합동으로 조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아이피 104.♡.235.145 작성일
불법 무법 무도 불신 불공정 무원칙의 대 혼돈 시대이다
정치시장이 모든 것을 지배하려 하는 후진성에서 시작됐다
그 후진성에는 "음모론"이라는 댓가지불을 할 일이 남는다
항공기의 블랙박스 전원이 꺼진 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면
"기내 모든 전원이 마비된 상황은 아니었다" 라는 조건과
그 비상착륙에 더 안전한 착륙을 할 여지가 남았다는 음모론이 따른다
즉, 비상착륙 시작지점, 랜딩 기어, 감속 플랩 펼치기 등의 가능성이다
모든 고의성 사고에는 "누구에게 이익이?"라는 의문이 남는다
사고 직전의 준비된 사고장면 촬영 영상에서도 많은 음모론이 따른다
"메이데이" 선언 후에도 조종사와 관제탑 간의 착륙유도 교신이 있었다
고의성이 아니라면 블략박스의 기록이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설계되었다